Key word: 대지경계, 평면 위치 결정, Bench Mark, 벤치 마킹, 건물 높낮이 결정, 대지 경계 및 면적, 2개소 이상 설치, 인접대지 및 도로관리자 입회, 훼손 방지 I. 정의 경계 측량은 대상 부지의 평면 위치를 결정할 목적으로 공사 착수 전 필지의 경계와 면적을 측량한다. Bench Mark는 건물의 높낮이 결정의 기준으로 기존구조물이나 신설말뚝을 이용한다. II. 측량방법 줄 쳐보기, 개략적인 건물의 위치 기준선의 먹줄치기, 기준 교점 기준점 설정 III. 설치방법 및 확인사항 구분 대지경계측량 Bench Mark 시기 공사 착수 전 공사 착수전 ~ 외부 부대공사 착수 전 방법 구청에 경계측량 신청 담당원 입회하에 설치 용도 대지 및 건물의 평면위치 Level의 기준점 유의사항 인접..
Key word : 공칭 지름의 7% 이상 감소, 소선의 10% 이상 단선, 심하게 꼬이거나 변형된 것, 부식이 심한 것, 양중 시, Balanced Beam 사용, 양중 시 필요한 부속 철물 공장 제작, 와이어로프 점검사항, 와이어로프 클립 결속 I. 정의 와이어 로프는 철근, 철골, 각종 자재 인양뿐만 아니라 철골 세우기 등에 사용되며 안전성 미확보 시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와이어로프는 공칭 지름, 소선의 단선 등이 사용금지 기준 이하 시 폐기해야하며, 양중 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Balanced Beam를 같이 사용하기도 한다. II. 와이어로프 사용금지 기준 공칭지름의 7%이상 감소 소선의 10%이상 단선 심하게 꼬이거나 변형된 것 III. 와이어 로프 사용 용도 철골 세우기 시 철근, ..
Key word. 보조 기둥, Ramp, 최소화 설치, 설치 후 해체, 수직도 확보, 하중 전달, 보조적인 역할, 사전 Modeling I. 정의 Temporary Column은 지하구조물 시공 시 설치하는 보조기둥으로 지하주차장 램프의 벽체 콘크리트 타설을 도와주는 가설 기둥이다. 사전 Modeling을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는 범위 내에서 최소화 설치하며, 타설 후에 콘크리트 벽체의 강도 확보 후 본 공사에 지장을 주므로 해체한다. II. 설치 방법 IIII. 설치 프로젝트 사전 검토 : 측압 및 구조적 안전성 검토 Simulation : Modeling → Simulation → 보완, 검토 현장 설치 해체 : 시공도와 같이 시공 후 본공사 간섭 시 해체 IV. 설치 시 유의사항 보조적인 역할을 충실..
Key word : 공사용 장비 및 차량의 진출입, 가시설물, 자재 적재, 복공판, 가설구대, 흙막이 간섭, MMA Coating I. 정의 복공판 구조물은 Post pile를 Brace 및 수평 연결재로 연결하여 그 위에 복공판을 올려 공사용 장비의 진출입 및 자재 적재가 가능한 가시설물이다. 복공판은 허용설계하중 20kN/m^2 이상을 견딜 수 있어야 하며, Post pile도 N치 50이상 지반에 지지되어야 한다. 각 부재의 간격은 부재의 최대처짐이 허용처짐 이내가 되도록 배치한다. II. 가설구대 시공도 III. 설계 시 관리사항 복공구조물과 흙막이 설계 간 간섭 여부 1) 1단 Strut 띠장과 복공구조물의 간섭 2) 복공구조물용 Post Pile과 Strut Center Pile의 간섭 습윤 ..
Key word. 시스템 동바리, 시스템화, 좌굴 방지, 전용 부품, 부재 단순화, 시공성 우수, 강관비계 대비 고가, 설치 해체 용이 I. 정의 시스템 동바리는 수직재, 수평재, 가새, U-Head, Jack Base로 구성된 시스템화된 동바리로 부재의 단순화, 전용 철물 사용 등으로 시공성이 우수하다. 설치 해체가 용이하고 수직재와 수평재의 체결로 좌굴을 방지하여 5층 이상의 층고에 적용시에도 안전하다. II. 구성요소 III. 특징 부재 단순화로 시공용이, 시공성 우수 전용 부품 사용으로 작업의 안전성 확보 구조적 안전성 확보 IV. 시공 시 유의사항 시공 전 시공 계획 및 구조검토 시시 시공 부위 바닥(Jack Base 위치) 강성 및 수평 확보 U-Head 높이는 장선, 멍에 편심방지 자재 반입..
Key word: 곤돌라 토탈 시스템, 건축물 상하단 Bracket 설치, 곤돌라 작업, 수직안전그물망, 개폐 가능, 미관 개선 페인트, 전동식 와이어, 외부 고소작업 용이, 수직안전그물망 한 번에 80m 설치 I. 정의 곤돌라 토탈 시스템은 건축물의 상단과 하단에 Bracket를 설치하고 Wire 연결 및 수직안전그물망을 설치하여 그 안에서 곤돌라 작업을 하 수 있다. 수직 안전 그물은 한 번에 80m까지 설치하며, 강풍 시 필요에 따라 개폐가 가능하며 미관 개선을 위해 페인팅을 하기도 한다. II. 콘돌라 토탈 시스템 상하부 Brackert 고정 III. 특징 하부 낙하물 방지망 불필요 외부 고소 작업 용이 강풍 시 수직안전그물말 개폐 가능 IV. 시공 시 유의사항 상부 Braket 간격 2m 이내 ..
Key word : Safety Working Cage, 안전가설 작업틀, 골조공사와 외부마감공사 동시진행, 작업발판, 낙하물 방지마, 안전난간대, 수직 보호망, 경제성 검토, 발주부터 설치까지 약 2개월, 안전성 향상 I. 정의 SWC 공법은 안전시설물이 조합된 작업틀을 외부에 설치 및 인양하여 골조공사와 동시에 외부마감공사를 진행하는 공법이다. Safety Working Cage는 작업 발판, 낙하물 방지망, 안전 난간대, 수직 보호망 등으로 구성되고 Slab나 벽체에 고정한다. II. SWC 공법으로 골조 및 마감공사 동시진행 III. 특징 상부 골조, 하부 외부마감 동시진행으로 공기 단축 작업효율 증대로 품질개선 안전시설물 조합된 작업틀로 안전성 향상 IV. 시공 시 유의사항 15층 이상 경제적,..
Key word: 초고층 지수설비, 우수 유입방지, 상부구조체 공사, 하부마감공사, 공종의 연계성 고려, 지수처리, 지수층 선정, Water Stop Floor, 우기 I. 정의 초고층 지수설비란 상부구조체 공사 부위에서 하부마감공사 진행층으로 우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한다. 상하부 공종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공정간섭이 없도록 계획 및 설치해야 한다. II. 공정진행에 따른 지수계획 우기 시 중첩된 해당층에 관리 처리대책 강구 공정률 검토 → 위치선정 → 기능별 분류 → 설치시기 검토 → 지수층 선정 III. 부위별 지수처리 상부 : E/V, Shaft, 계단실 → 방수턱, 유도배수 측부 : C/W, 골조사이 → 수직천막, 관통부 관리 지하층 : 방수턱 설치, Trench 유도배수 → 태풍,..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