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word : 고강도 철근, 항복강도 400Mpay 이상, 부재 단면 축소, 강성 확보, 강재 저감, 취성에 약함, 녹발생 우려, 균열폭 및 처짐 증가, 500Mpa 이상 초고강도 철근, 인장강도 증가 I. 정의고강도 철근이란 철근의 항복강도가 400Mpa 이상의 철근을 말하며, 500Mpa 이상이며 초강도 철근이다.고강도 Con'c와 함께 사용하여 부재 단면 축소와 강성 확보가 가능하지만 취성 파괴에 약하고 균열 및 처짐이 증가한다.II. 고강도 및 일반철근의 응력 및 변형률 → 일반철근 대비 인장강도 25% 증가 III. 고강도 철근의 특징 장점인장강도 증가부재단면 축소강재 저감 단점취성 파괴에 취얌녹발생 우려균열폭 및 처짐 증가IV. 적용 시 고려사항이음길이 25% 증가일반철근 대비 단가상승으..
Key word : 수축 온도 철근, 온도균열 방지, 1방향 Slab 장변 방향에 설치, 변장비 2배이상, 주철근 간격 유지 및 응력 분산, 배력철근, 변장비 I. 정의수축 온도철근이란 온도 변화에 따른 Con'c의 온도수축균열을 방지할 목적으로 1방향 Slab의 장변 방향에 배치하는 철근이다.Slab의 변장비에 따라 장변의 길이가 단변의 길이의 2배를 초과하는 경우 수축 온도 철근을 배근한다.II. 변장비에 따른 수축온도 철근 배치 변장비 = 장변 / 단변2배 초과 1방향 Slab, 2배 이내 2방향 Slab 1방향 Slab : 단변 주근 + 장변 수축온도 철근 2방향 Slab : 단변 주근 + 장변 배력철근III. 수축온도 철근의 배근 목적온도 변화에 따른 균열예방주철근 간격 유지 및 응력분산 등IV..
Key word : 바닥 및 내벽 시스템 거푸집, AL Form, 전용성 우수, 양중 및 탈형 시 변형 주의, 탈형 시 소음 발생, Drop Down System고려, 숙련된 기능공 필요, 강성이 큼, 친환경적 I. 정의AL Form이란 바닥 및 내벽의 시스템 거푸집으로 AL 판넬과 프레임을 코팅처리하여 반복사용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친환경적이다유로폼에 비해 가볍고 강성이 크며 시공 정밀도가 우수하여 널리 사용된다.II. AL Form 구성 Al Form : Slab Panel + Middle Beam + End Beam + Wall Panel III. 특징 장점강성이 큼전용성이 우수친환경적 단점초기투자비 과다기능공 숙련기간 필요타폼과 호환성 어려움IV. 시공 시 유의사항양중 탈형 시 변형우려탈형 시 소..
Key word : 동결 융해, 알칼리 골재반응, 흡수율이 큰 골재, Con'c 표면 탈락, 초기강도 5Mpa 조기 확보, AE제 첨가, 흡수율이 낮은 골재 사용, 단열 및 보온양생, 초기 동해 시 (체적 9% 상승) I. 정의Pot Out 현상이란 Con'c 내 골재가 수분 흡수 및 동결융해로 인한 체적 팽창 및 알칼리 골재반응으로 표면이 탈락하는 현상이다.주로 초기 강도 5Mpa 확보 시 동해 시 동결융해로 인해 발생하므로 단열, 보온 양생을 통해 초기강도를 확보하는게 중요하다.II. Pop Out 현상 Mechanism Con'c 수분흡수 → 골재 수분 흡수 및 동결융해로 인한 팽창 → 표면부 탈락 III. Pop out 원인흡수률이 큰 골재 사용초기 강도 5Mpa 확보 전 동해로 인한 동결융해알칼..
Key word : 수화반응에 의해 배합수 소비, 반응에 의한 체적 감소, 조강>보통>중용열 및 저열, 외부요인(수분증발 / 온도변화/ 응력) 없이 발생, 양생온도가 높을수록 I. 정의Con'c의 수화반응에 의해 배합수를 소비하여 체적이 감소되는 현상을 말한다.외부 요인 (수분증발, 온도변화, 응력)의 영향없이 내부의 물리적, 화학적 변화로 생기는 수축으로 소성 및 건조수축과 차이가 있다.II. 자기수축 발생 Mmechanism CaO(시멘트) + H2O(물) → Ca(OH)2+ CO2 + 수화열 → 배합수를 소비하여 체적감소 III. 영향요인시멘트 종류 : 조강, 고강도 > 보통 > 중용열 및 저열배합설계 : W/B는 낮게, 시멘트는 많을수록 증가온도 : 양생온도가 높을수록 증가IV. 저감대책중용열 및..
Key word : 온도균열방지, 에어캡으로 구성된 두겹의 시트, 표면 열교환 차단, 공기층은 열전도 비닐막은 열대류 방지, 한중 Con'c 균열방지, 소성수축 균열 방지, 매스 Con'c 수화열에 의한 균열 저감 I. 정의이중 버블 시트는 에어캡으로 구성된 두겹의 시트를 접착하여 Con'c 표면의 열교환을 차단하여 양생 보양하는 시트이다.공기층은 열전도를, 비닐막을 열대류를 방지하여 동해 및 Mass Con'c의 균열을 방지하며 내부 수화열을 통해 양생한다.II. 이중 버블 시트 양생 Mechanism 공기층 (열전도 방지) + 비닐낙 (열대류 방지) → 겨울철 동해 방지, Mass Con'c 내외 온도차이 상승 방지, 수화열을 통한 양생으로 소요강도 확보 III. 특징한중 Con'c 동해방지Mass ..
Key word : Con'c 수축 및 침하량에 의한 응력 배제, 일정기간 타설하지 않고 방치, 4~6주 이상, 주로 장 Span 구조물, 기초재를 제외한 모든 부재 적용, 사전 타설 구획 계획 철저, 이음부 방수 철저, 수축대 I. 정의Delay Joint는 Con'c의 수축 및 침하량에 따른 응력을 배제하기 위해 일정기간 Con'c 타설하지 않고 방치한 후 최종타설하는 부위이다.주로 장 Span 구조물에 사용하며, 공정에 지장이 없는 경우 4~6주 이후에 수축대 타설한다.II. Delay Joint 시공도 → 수축대는 적어도 겹침철근 이음 길이보다 길어야 하며, 잔여 수축 응력은 Con'c 인장 응력이 부담 → 선 Con'c가 어느 정도 건조수축이 발생한 후 수축대에 Con'c를 타설하기 때문에 건조..
Key word : 균열 유도, 단면결손 부위 유도, 온도 변화 및 건조수축에 대응, 단면 및 외관 손상 최소화, 깊이는 벽 두께의 5분의 1이상, 강도와 기능을 해치지 않는 구조 및 위치 선정, Saw Cutting(옥상) I. 정의Control Joint, 균열유도 줄눈은 온도 변화 및 건조 수축 등에 의한 균열을 단면결손부위로 유도하여 구조물의 단면 및 외관손상을 최소화하는 Joint이다.깊이는 구조물 두께의 5분의 1이상 이어야 하며, 구조물의 강도와 기능을 해치지 않도록 그 구조 및 위치를 정해야 한다.II. Control Joint 시공도 → ( t1+ t2) / t >= 0.20 III. 설치 위치옥상의 보호콘크리트에 Saw cutting개구부 부위단면 변화로 균열이 예상되는 곳IV. 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