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word : 변위 대응, 신축이음 Expansion Joint, 균열 예상되는 부분에 설치, Con'c 팽창과 수축에 대응, 부동침하가 예상되는 부위, 진동방지, 이음재 및 지수판 설치, 양쪽의 구조물 혹은 부재가 구속되지 않는 구조 I. 정의Expansion Joint는 온도 변화, 건조 수축, 기초의 침하 등에 의해 발생하는 변위를 수용하기 위해 균열이 예상되는 부위에 설치하는 이음이다.부재가 구속되지 않은 구조이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 줄눈재, 지수판을 배치한다.II. Expansion Joint Mechnism 건축 수축 및 Creep 발생 → Con'c 수축 및 팽창 → Expansion Joint 변위 대응 → 균열 및 파괴 방지 III. 특징Con'c의 팽창과 수축 조절부동침하가 예상될..
Key word : 굳은 Con'c에 새로운 Con'c 타설, 전단력 작은 곳, Con'c 일체화, 조면 처리, 충분한 진동다짐, Expansion Joint, Control Joint, Delay Joint I. 정의Construction Joint는 굳은 Con'c에 새로운 Con'c를 타설할 때 일체화되지 못해 발생하는 Joint이다.가능한 전단력이 낮은 곳에 설치하고 조면처리, 시멘트 페이스트 바르기 등 구, 신 Con'c가 일체화되도록 시공해야 하다.II. Con'c 이음 위치 및 기준 보, 슬래브 이음은 Span 중앙부에서 양쪽으로 L/4 , L은 기둥 중심간 거리큰 보, 작은 보 교차시 작은 보 폭 2배 이상 떨어진 곳보가 고정되는 부분은 이어치기 금지III. 시공 시 유의사항수평 부재는 가..
Key word : 수화 반응, 수화반응열, Cement(CaO)와 물(H2O) 반응, 응결, 결화, C3S(알라이트), C2S(벨라이트), C3A(알루미네이트), 온도균열, 장기강도 개선 I. 정의수화반응은 Cement (CaO)와 물 (H2O)가 반응하여 다량의 열을 방출하면서 응결, 경화되어 수화생성물이 생성되는 반응이다.수화반응 시 발생하는 열을 수화열이라고 한다. 수화 반응식 : CaO+H2O → Ca(OH)2 + 수화열II. 수화반응 응결 : 수화면서 유동성 상실경화 : 응결이후 굳으면서 강도발현III. 시멘트 성분에 따른 수화반응 영향구분C3SC2SC3A수화반응빠름늦은매우 빠름강도28일이내 초기강도28일 이후 장기강도1일 이내 초기강도수화열中小大건조수축中小大 IV. 수화반응 활용초기 수화반응..
Key word : 초기침하균열 방지, 수축균열 및 표면균열 방지, Tamping Tool 쇠흙손 및 나무흙손, 평탄성 확보, 후속작업 용이, Tamping 시기가 중요 I. 정의Tamping이란 Con'c 타설 이후 초기침하균열을 방지하기 Con'c 타설면을 두드리거나 누르는 다짐방법을 말한다.Tamping으로 평탄성 확보 및 제물치장 마감이 가능하며 방수 등 후속작업이 용이하다. Tamping 시기가 중요하며 경화가 시작할 때부터 표면이 물기가 마를 때까지 실시한다.II. Tamping Mechanism Con'c 타설 → 응결 → 철근 하부 공극 → 균열 → Tamping 실시, 표면균열 제거 및 방지 III. 특징표면 균열을 빠른 시기에 제거하며 재발생 방지평탄성 확보 및 후속 작업 용이Tampi..
Key word : Con'c 포설장치, 구조체 상승에서 따라 Mast 상승시켜 붐을 연결하여 타설, 철근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적은 인원으로 빠르게 타설, 코어부나 Slab Open 구간에 설치, 정기적인 점검, Zonning 계획, 초과범위 Pump Car 타설 혹은 주름관 이용, 폐색현장 I. 정의CPB는 고층 건물의 Con'c 타설 시 구조체의 상승에 따라 Mast를 상승시켜 붐을 연결하여 Con'c 포설하는 장치이다.수직 상승용 Mast가 있으며 철근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적은 인원으로 빠르게 타설할 수 있다.II. CPB 타설 방법 → 정기적인 점검 필수, 관(Boom)의 두께, 이음부 → 초과범위는 주름관이나 Pump Car를 이용하여 타설 III. 특징적은 인원으로 빠르게 타설가능타설 시 철근..
Key word: Plug 현상, 서중기나 동절기 집중, 배관 내 이물질, 타설 시간 미준수, Con'c 재료분리, Cold Joint, 구조물의 품질에 악영향, 압송부하 증가, Con'c 빈배합, 폐색 현장 I. 정의Plug 현상은 서중기나 동절기에 주로 발생하며 Con'c 타설 시 Pumping 과정에서 Con'c 빈배합, 배관 내 이물질, 타설 시간 미준수 등으로 Pipe관이 막히는 현상이다.Plug 현상 발생 시 Con'c 재료분리, Cold Joint 등 Con'c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신속히 막힌 배관을 찾아 교체해주는 것이 중요한다.II. Plug 현상 발생 Mechanism → 배관 지름, 길이, Con'c 배합, 기온 변화에 의해 폐색현상 발생=> 신속히 막힌 배관을 찾아 교체해..
Key word : 설계기준강도, 배합강도, 구조 설계 시 기준, 재령 28일 압축강도, 현장 배합 시, 설계기준 강도에 적당한 계수를 곱, 호칭 강도(레미콘 주문시 강도) I. 정의설계기준강도는 구조 설계 시 기준이 되는 강도로서 재령 28일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한다.배합강도는 설계기준강도에 적합한 계수를 곱하여 할증한 압축강도를 말하며, 현장 배합시 적용한다.II. 설계기준강도 및 배합강도 비교 구분설계기준강도배합강도표기FckFcr적용부재 설계 시현장 배합시강도100100 + a(할증)III. 설계기준강도 산정재령 28일 강도 Fck= 3 * 장기허용응력도 Fck= 1.5* 단기허용응력도Fck 범위는 15~30MpaIV. 배합강도와의 관계(s는 압축강도 표준편차)Fck = Fck + 1.34*(s, ..
key word: 타설 기준 높이, 설치 및 제거 용이, 가시성, 내구성 및 시공성, 정밀성, 구조용 level Spacer, 슬라브 Level 표시 I. 정의구조용 Level Spacer는 Slab의 Con'c 타설 시 타설 기준 높이를 표시해주는 전용자재이다.구조용 Level Spacer는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타설 중에도 눈에 잘 보여야 하며 내구성이 좋아 유지관리에 있어 원활해야 한다.II. 구조용 Level Spacer 구성 III. 기능상부 Slab Con'c Level 표시중앙부 level 조정 +30mm하부 위치 고정IV. 요구성능가시성 : 타설 중에도 눈에 잘보이는 색상정밀성 : 정밀한 Level 조절내구성 및 시공성 : 복원 능력 및 설치 제거가 용이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