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word : Floating Foundation, 부력/뜬 기초, 흙파기한 중량과 구조물 하중이 균형 유지, 공기 및 공사비 절약, 건축물의 균형유지로 부동침하 침하, 하부지반 지지층이 수평으로 균질해야함 I. 정 의 Floating Foundation이란 연약지반이 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 흙파기한 중량과 구조물 자중이 균형을 이루도록 만든 기초이다. 설계 시 안전을 고려하여 구조물 중량은 굴착토 중량의 2/3정도가 적합하다. II. Mechanism 건물중량
key word : 연약지반, 경질지반, 선단지지력, 주변마찰력, Slip Layer, 부마찰력, 지반 지지 I. 정의 마찰말뚝 : 연약지반에서 선단지지력 확보가 어려운 경우 주변 마찰력에 의해 지지하는 말뚝이다. 지지말뚝 : 말뚝을 경질지반까지 도달시켜 선단 지지력으로 지지하는 말뚝이다. II. 마찰말뚝과 지지말뚝의 원리 마찰말뚝 지반변화에 예민 공기 영향 적음 선단 하중지지 거의 없음 지지말뚝 연약지반 영향 적음 공기 많이 소요 경질 지반 지지 중요 III. 적용 시 고려사항 마찰말뚝 : 부마찰력(Negative Friction) 발생 고려 → Slip Layer 적용 지지말뚝 : 토질주상도를 통한 경질지반 위치를 파악하여 이를 고려하여 Pile 길이 결정
Key word : Top Down System, 대구경 말뚝, 전단지압띠를 용접, 전단연결장치, 용접없이 시공용이, Slab 연결부 강도확보, 접합부 품질확보, 수직도 확보, 전단지압띠 용접시 품질관리 I. 정의 RC조 Top Down System으로 선기초 기둥에 전단지압띠를 용접하여 전단연결장치에 의해 Slab와 연결하는 시스템이다. 종래 H형강, 각형강관을 이용한 선기초 기둥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공법이다. II. ES Top Down 구성과 시공 순서 III. 특징 용접없이 시공용이 Slab 연결부 강도확보 접합부 품질확보 IV. 시공 시 유의사항 수직도 확보
Key word : 말뚝 이음, 강재 연결블록, 고장력 볼트, Torque 검사, 균일한 품질확보, 시공용이, 경제성, 친환경적 공법, 수직도 확보, 이음시간 단축 I. 정의 무용접 말뚝이란 PHC 파일의 균일한 품질확보를 위해 상하부 파일 사이에 강재 연결 블록을 놓고 고장력 볼트로 체결하여 응력을 유지하며 연결하는 공법이다. 시공 시 기후조건이나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한 영향이 없어 용접 이음보다 간편하며 시공성이 좋다. II. 무용접 말뚝 순서 III. 특징 이음부 파손 변형방지로 품질확보 이음부 간격 경제적 상하부 말뚝 축심일치, 수직도 확보 생산성이 높고 친환경적 공법 IV. 용접 이음과 비교 구분 무용접시 용접식 이음구조 직접 볼트이음 (단순 접합) 품질확보 품질확보 용이 기후 및 현장조건에 따..
Key word: 시항타, 매입말뚝, 본항타, 본항타와 동일조건, 파일의 허용지지력 산정, 말뚝 길이 산정, 관입량 결정, Hammer 중량, 항타장비, 이음방법, 두부머리 파손방지, 연속항타, 수직도 확보, 5회 타격시 총 관입량 6mm이하 시 항복 I. 정의 시항타는 기초공사에서 기성파일의 본항타에 앞서 발생가능한 하자, 시공 조건 및 방법 들을 결정하기 위해 본 항타와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는 시험이다. 시항타를 통해 파일 허용지지력 산정 , 파일 깊이, 두부머리 파손 여부 파악 등을 활용하며 5회 항타시 총 관입량이 6mm이하가 되면 항복상태까지 매입한다. II. 시항타 관리기준 본항타와 동일한 조건 말뚝이 선단에 도달하면 Rebound Check 실시 정재하 및 동재하 시험 실시 기초 면적에 따..
Key word : 동재하 시험 Data 기초, 파일지지력 확인, 최종 관입량, 편심 정도, 5회 관입량 6mm이하, 이음부 품질, 말뚝머리 파손 여부 I. 정의 기성 콘크리트 말뚝의 동재하시험으로 얻은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파일 항타 시 관입량, 리바운드량을 측정하여 파일 지지력을 확인하는 시험이다. 최종 관입량을 측정하며 타격횟수가 5회에 총관입량이 6mm 이하인 경우 항복상태로 간주한다. II. Reboud Check 기록 III. Rebound Check 확인사항 최종 관입 깊이 지지력 확인 편심 정도 및 이음부 품질 말뚝 머리 파손 여부 IV. 매입말뚝 시험 종류 Rebound Check 동재하 시험 정재하 시험 추가. 말뚝이음 방법에 따른 차이 구분 무용접시 용접식 이음구조 직접 볼트이음 (단..
Key word : 부마찰력 감소, 연약 지반, 지반 침하, Pile 표면 도포, Silp Layer, S/L Silp Layer Compound, 중립점, 선단 저항 I. 정의 SL Pile은 초연약지반(N치 0~3)에서 지반침하량이 파일침하량보다 커서 발생하는 부마찰력에 대해 대응하기 위해 Pile 표면에 S/L Compound를 도포하여 부찰력은 80~90%까지 감소시킨 파일이다. Pile에 S/L 프라이머 도포하여 일체성을 향상시키고, S/L 컴파운드를 도포하여 미끄럼층을 형성하여 부마찰력음을감소 시킨다. II. 부마찰력 저감 Mechanism -Slip layer 형성(미끄럼층 형성) → 마찰계수 감소 → 부마찰력 크기 감소 III. S/L Pile 구성 요소 및 역할 SL 프라이머 : Pile..
Key word : Top Down 공법, PRD, RCD, 정위치, 편심 방지, 빈공간 자갈(혼합골재) 채우기, 수직도 확보, 100mm까지 Alignment I. 정의 철골 기둥의 뒷채움은 Top-Down 공사 시 기초 PRD, RCD 시공 후 철골 기둥의 정위치 유지 및 편심 발생을 방지하도록 기초 con'c 타설 후 자갈로 빈공간을 채우는 공정을 말한다. Con'c 타설 후 1~2일 양생 뒤 혼합골재로 뒤채움을 실시하며, 철골기둥의 수직도 확보가 중요하다. II. Back fill 시공 순서 → 지하구조물의 원활한 시공과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철골기둥의 수직도 확보가 중요하다. III. 시공 시 유의사항 철골 기둥의 위치 확인 후 정위치를 유지하기 위해 뒷채움한다. 기초 타설 후 주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