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상사님께서 출근시간보다 더 빨리오라고 한 상황에서 (실제는 저는 1시간 빨리오라고 혼난 적이 있습니다. 한 시간은 먼저 못오겠고, 현재는 30분 일찍오고 있습니다. 저는 저렇게 용기 있게 말했다면 좋았을텐데, 어디로 간 거 일까요? 제 소신은.) "빨리 온다고 돈을 더 주는 것도 아닌데 제가 왜 정해진 시간보다 일찍 와야 하나요? 10분 전에 오는 것이 예의면 퇴근 10분 전에 컴퓨터 끄고 게이트 앞에 대기해도 되나요?" 글은 임홍택 작가님의 '90년생이 온다'에 대한 92년생 출신 잉생초년생 이자 직장 생활 2년차 '필자'의 간단한 리뷰입니다. 짧은 리뷰 후에는 '꼰대 체크리스트'와 또라이(꼰대) 질량의 법칙을 공유하였습니다. 뒹굴뒹굴 해야하는데.... "칼퇴가 아니라 정시퇴근입니다" 아침 일곱시..
현재 나의 투자금액은 38,000,000원 모두 P2P에 투자되어 있고 10개의 상품에 투자되어 있다. 다음달부터 20년 1월을 제외하고는 매달 원금을 돌려받는다. 여기서 투자 더 안하고 그대로 돌려받는 경우에는 39,844,311원 약 1,844,311원의 수익을 거둔다. 10개월 남짓 투자로는 절대 작은돈이 아니다. P2P 투자의 장점은 거의 세후 8~10%의 높은 수익률을 거둘 수 있지만 무엇보다 안전된 상품이 아니라는 것이 느껴져서 더 이상 추가로 투자하려고 하지는 않는다. 앞으로는 한국 주식이든 중국 주식 이든 미국 주식이든 공부해서 시작하려고 한다. 전액 전부;; 안전히 상환되었으면 좋겠다 사실 요즘 P2P 투자 상품이 마감이 몇달전부터 확실히 늦게된다. 그래서 그런지 리워드를 주지 않는 업체..
2015년 1월 12일 CAPM를 합격하고 약 3년 6개월 만에 PMP 시험을 합격했다. (2019.06.20) 이 Certified들은 미국 프로젝트협회(PMI)에서 주관하는 시험에 관한 것이다. 내용은 PMBOK,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 한 마디로 프로젝트 관리에 관한 내용이다. 이렇게만 들으면 딱딱보이고, 실제 시험과 공부하는 내용도 여러 전문 용어로 딱딱해보이지만 나로서는 밥을 먹는 것도, 친구를 만나는 것도, 작은 물건을 하나를 사는것도 프로젝트 개념으로 보고 이를 적용한다면 절대 딱딱한 내용이 아니다. 그리고 이를 공부하는 것은 생각보다 실무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특히 나같은 사회초년생으로서는 맡은 일이 처음부터 완벽한 계획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