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설공사 서술02. 양중장비 선정 및 계획 시 고려사항
- 건축시공기술사(구)/가설공사 , 건설기계
- 2020. 8. 3. 12:19
★ 기출문제
I. 개요
- 초고층 건축공사에서 자재 양중 시 건물의 높이로 인한 바람에 영향, Cycle Time 지연뿐만 아니라 도심지라 공간이 협소하다.
- 이를 고려해서 양중기계 선정 및 배치 시 공간 활용, 풍하중 영향 등을 고려해야 한다.
II. 자재 양중계획 시 고려사항
1) 고려사항
- 설계도서 검토 : 건물 높이, 설계도 및 현장설명서
- 장비선정 : Floor Climbing, 고속 Lift Car 등
- 설치 운용계획 (시기별 양중내용)
- 공정, 원가, 안전
- 장비별 고려 (T/C, Lift Car, CPIB
2) 공사단게별 양중 내용 및 장비운용계획
- 초기 : 현장 Setting
- 중기 : 골조공사, 마감재료 및 외장재
- 후기 : 해체 및 내부장식물
III. 양중기계 선정
1. T/C 기종 선정
1) 용량 검토
- 인양자재나 장비의 최대중량확인
- 최단부 인양중량 고려
- T-Tower Crane이 Luffing Crane보다 구조적으로 안전하여 인양 용량이 더 큼
2) 대지경계선 및 회전반경 고려
- 회전 반경 내 장애물이나 대지경계선 침범 여부 확인
- 회전이 자유로운 경우 T-Tower Crane 사용
- 대지경계선 침범 시 Luffing Crane 사용
3) Floor Climbing , T-Tower Crane 선정
- 초고층 건축물 높이로 인해 Mast Climbing보다 Floor Climbing이 적합
- 만약 회전반경이 자유롭지 못하며 T-Tower Crane → Luffing Crane 대체
- 보통 초고층은 2대 설치하며, 저층부는 M/C 활용
2. Hoist 선정
1) Cycle Time 분석
- Cycle time : 적재 + 상승 + 하적 + 하강 시간, 초고층은 높이로 인해 Cycle Time 지연
→ 고속 LIft Car 선정 (100m/min), Cycle Time 약 10분 기장
2) 바람을 고려한 Cable 운속방식
구분 | Drumb 방식 | Trolley 방식 |
Cable | 드럼통에 쌓였다가 풀림 | Trolley가 상승 및 하강 |
바람 | 바람에 영향이 큼 | 상대적으로 작은 |
기초와 단차 | 30cm | 60 ~90cm |
→ 초고층은 바람에 의한 영향이 커서 Trolley 방식이 적합, 기초와 단차로 인해 가설경사로 설치하며, 경사로 각도가
15도 이상 시 미끄럼방지막이 설치
IV. 배치
1) PIck-up Area 가능한 넓게
- 대지경계선 인접 및 장애물 있을 시 Luffing Crane 사용
- Crane 간 공유작업면적 확보, Simulation 검토 필수
- 가능한 넓은 Pick-up Point 확보
2) 건물 내/ 외부 설치에 따른 특징
구분 | 내부 | 외부 |
작업반경 | 본체 구조물 | 기초 별도 시공 |
후속작업 | 마감공사에 영향이 큼 | 본 구조물과 간섭이 없는 곳 배치 |
해체 | 어려움 | 상대적 용이 |
→ 초고층일 경우 건물의 높이로 인해 내부에 설치되는 Floor Climbing 방식 사용, 후속 마감공사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철저한 해체 및 반출계획 수립 및 검토
V. 결론
초고층 공사에 있어 자재 양중은 골조 및 마감공사를 진행하는데 영향이 크므로 이를 원활히 진행하기 위해 Cycle Time 분석 및 좁은 대지를 사용할 수 있는 양중기계 선정 및 양중계획 수립 및 검토해야 한다.
이를 통해 골조 및 마감공사의 원활한 진행으로 공정 준수 및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건축시공기술사(구) > 가설공사 , 건설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설공사 서술03. 타워크레인 설치 운용 해체 (0) | 2020.08.03 |
---|---|
가설공사 서술01. 가설계획 (0) | 2020.08.01 |
가설공사 23. Lift Car 대수산정 및 효율적인 운용 (0) | 2020.07.30 |
가설공사 22. Lift Car, 호이스트 종류와 선정 (0) | 2020.07.30 |
가설공사 21. Tower Crane, 타워크레인 Telescoping 및 해체 (0) | 2020.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