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설공사 서술03. 타워크레인 설치 운용 해체
- 건축시공기술사(구)/가설공사 , 건설기계
- 2020. 8. 3. 19:06
★ 기출문제
I. 개요
- 타워크레인 설치 시 야적 및 조립공간을 확보 및 가능한 조기 설치 운용하고 2대 이상 설치 시 Simulation를 통해 검토해야 한다.
- 운용시에는 양중부하 평준화와 우선순위 및 공종분배하여 가동효율을 증대해야하며 해체 시에는 철저한 계획 및 검토로 후속공사 영향을 최소화해야한다.
II. 타워크레인 설치
1) Crane간 상호간섭 배제
- Crane간 회전 이격거리 2m이상 확보
- Level 단차 확보
- 물리적 충돌방지시스템 적용
→ Crane간 간섭 배제로 효율증대 및 안전성 확보
또한 설치시 시 유의사항
- 야적 및 조립공간 확보 : 설치용 Crane, Mast 및 Jib
- 설치는 가능한 빨리하여 족운용
- 2개 이상 설치 시 시물레이션 실시
2) 안전검사 실시
- 자재 입고 시 검사
- 설치 시 검사
- 사용 시 정기점검 : 최초 설치 후 6개월 마다
3) 기초에 따른 특징비교
- 강말뚝 방식
(1) 지하 구조물과 연결시공, Top Down 공법 시 활용
(2) 조기 설치하여 운용가능 - 독립기초 방식
(1) 대지가 여유가 있는 경우, 별도 기초 시공
(2) 해체 및 폐기물 비용 발생 - 영구 구조체 이용방식
(1) 주차장 기초 등 이용, 경제적이며서 안정적
(2) 영구 구조체 추가 보강 고려
→ 도심지 초고층공사에서는 공간이 협소하여 영구 구조체 방식 이용
영구구조체 보강방법으로 Beam 혹은 기둥 확대 보강
II. 운용
1) 가동효율 증대방안
- 양중부하의 평준화 : 양중작업시간 분배
- 우선작업 및 공종분배: 가동효율 증대
- 작업범위 설정
→ 이뿐만 아니라 안전대책으로 전용전원 사용, 피뢰침 설치 및 접지, Jib 설치 전 조명 설치 및 정기점검 및 보수 실시
2) Telescoping 중 일체 타작동 금지
순서 : 연상할 마스트 권상 → Mast를 가이드레일에 안착 → 마스트로 좌우균혈 유지 → 유압상승
→ 마스트 조립(끼움) 작업 → 반복 작업
- 풍속 10m/s 이내에서만 작업
- 작업 전 T/C 균형 유지
- 작업 중 선회, 트롤리 이동 등 일체 타작업 금지
III. 해체
1) 해체 순서
Telescoping 실시, Mast 자체 해체 → M/C 장비로 Jib 및 잔여 Mast 해체 → 해체
→ 골조 공사 완료 후 잔여 양중량, 후속공사 일정 등을 고려하여 해체 시기 겨정
2) Type 별 유의사항
- Mast Climbing Type : 작업을 위한 공간 여유 확보
- Floor Climbing Type: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작업이 어려움, 철저한 해체 반출 계획 수립 및 검토
IV. 결론
- T/C 설치, 운용 및 해체 각 단계 모두 안전관리가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해 안전인증 제품 사용, 신호수 배치, 정기정검 및 보수를 실시해야한다.
- 또한 양중 시 사용되는 슬링벨트, 와이로프 상태를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하면 특히 와이어 로프는 공칭지름 7%감소, 소선의 단선 수가 10%이상, 마모 및 부식 꼬이면 폐기해야 한다.
'건축시공기술사(구) > 가설공사 , 건설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설공사 서술02. 양중장비 선정 및 계획 시 고려사항 (0) | 2020.08.03 |
---|---|
가설공사 서술01. 가설계획 (0) | 2020.08.01 |
가설공사 23. Lift Car 대수산정 및 효율적인 운용 (0) | 2020.07.30 |
가설공사 22. Lift Car, 호이스트 종류와 선정 (0) | 2020.07.30 |
가설공사 21. Tower Crane, 타워크레인 Telescoping 및 해체 (0) | 2020.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