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word: Mircro Pile, 소규모 장비, 협소한 공간, 지반보강, 설계 시 가정한 지지층과 일치여부 확인, 인접건물에 미치는 영향 최소화, 지지력 1본당 100tf이하(보통 70~80tf), 수직도 확보, 직경 300mm이하 I. 정의 Micro Pile공법은 직경 300mm이하의 소구경 말뚝을 암반에 근입하여 시공하는 공법으로 소규모 장비로 접근성이 용이하다. 협소한 공간의 지정공사나 기존 구조물의 지반보강에 주로 적용한다. II. 시공순서 천공 및 케이싱 설치 → 강봉 삽입 및 그라우팅 → 두부정리 및 기초 시공 말뚝 시공 시 수직도 확보 III. 특징 기존구조물 보강에 적용가능 인접구조물에 미치는 영향 최소화 협소한 공간에서도 시공용이 IV. 시공 시 유의사항 선단지지력 저하여부 확인..
Key word : RCD 공법, 이수와 정수압으로 공벽유지, 다량의 물 필요, 현장타설말뚝공법, 장비가 상대적으로 경량, Slime 처리 및 하부보강(Toe Grouting), 편차의 최소화/ 장비 Bit를 무겁게하여 무게중심하부로 이동, 수직도 확보 I. 정의 RCD 공법은 Drill Rod 선단에서 물을 빨아올리면서 굴착하여 이수와 정수압으로 공벽을 유지하는 현장타설말뚝공법이다. 다량의 물이 필요하며 공벽의 수압유지가 핵심이며 자갈층은 시공이 곤란하다. II. 시공순서 Stand Piple 삽입 및 굴착 → Slime 처리 1차 → 철근망 삽입 → Slime 처리 2차 → Con'c 타설 및 Stand Pipe 인발 III. 특징 지름 0.8 ~ 3.0m, 심도 60m이상 말뚝형성 장비가 상대적으로..
Key word : 대구경 말뚝굴착장비, PRD 공법, 주로 도심지 Top-Down 현장에 적용, Casing 및 철골기둥 수직도 확보, 저소음/ 저진동 공법, 시공정밀도 수직 1/300 및 수평 100mm 이내, 선단지지력 확인, 천공 완료 후 슬라임 배출관리 I. 정의 PRD 공법은 대구경 말뚝굴착장비로 굴착 후 철근망을 삽입하여 현장타설말뚝 공법으로 주로 도심지 Top-Down 공법에 적용한다. 케이싱 내부의 토사를 Air로 배토시키므로 선단지지층을 육안으로 확인가능하다. II. 시공순서 Out & In Casing 설치 → 철근망 삽입(기둥철골 설치) → Con'c 타설 (케이싱 인발) Casing 및 철골기둥 수직도 확보가 중요하다. III. 특징 시공효율이 높아 시공속도가 빠름 저진동, 저소음..
Key word: Earth Drill 공법, 현장타설말뚝, Stand Pipl 지반 붕괴방지, 안전액 공벽보호, 소형으로 좁은 장소 시공가능, 지하수가 없는 점섬토 지반, Slime 처리, 진동 소음이 적음, 단단한 경사층이 있는 경우 천천히 굴착 I. 정의 Drilling Bucket으로 굴착하고 Stand Pipe로 지표면 부근 지반붕괴 방지 및 안정액으로 공벽을 보호하는 현장타설 Con'c Pile 공법이다. 장비가 소형으로 좁은 장소에도 시공가능하며 지하수가 없는 점성토 지반에 적합한다. II. 시공순서 Stand Pile 설치 및 굴착 → 안정액 관리 및 Slime 처리 → 철근망 삽입 및 타설(Stand Pipe 인발) Earth Drill 공법에서 안정액 유지관리가 중요하며, 사질토의 경우..
Key word : SIP 공법(Soil Cement Injected Precast Pile), DRA 공법(Double Rod Auger), 굴착 및 Cement Past 주입 후경타, Screw 내부 Auger, 외부 Casing 동시 굴착, Cement Paste 주입, 천공선 선단부보다 2D(말뚝지경) 위에 I. 정 의 SIP 공법은 지반을 굴착하고 Cement Paste 주입 후 기성말뚝 삽입 후 최종 경타하는 공법이다. DRA 공법은 Screw 내부 Auger와 외부 Casing으로 동시 굴착하는 공법으로 Casing Screw 제외하며 SIP 공법과 동일하며 공벽붕괴가 쉬운 지반에 적용한다. II. 시공순서 굴착(Auger 세우기 및 수직도 확보) → Cement Past 주입 및 Auger..
Key word : 지지력 판정, 허용지지력, 극한지지력, 안전율, 침하량 25mm, 주변마찰력, 선단지지력, 항복, 5~10회 타격 시 침하량 5mm 이하 시 항타중지, 소요 깊이까지 관입, 무리말뚝 효과 I. 정 의 기성말뚝의 지지력 판정 시 말뚝의 재하시험 혹은 타입시험 결과와 지반조사 결과를 종합하여 지지력을 판정한다. 5~10회 타격 시 침하량이 5~10mm이하며 항타를 중지하며 소요 깊이까지 관입되었는지 확인 후 지지력을 판정한다. II. 지지력 판정 허용 지지력 = 극한지지력 / 안전율 → 일반적으로 침하량이 25mm 기준으로 지지력 산정 III. 지지력 판정 시 유의사항 항타 후 사질토는 수일 후, 점섬통는 한달 후 완전한 지지력 발휘 지지층 하부에 연약층이 있을 경우 무리말뚝 효과 고려 ..
Key word : Floating Foundation, 부력/뜬 기초, 흙파기한 중량과 구조물 하중이 균형 유지, 공기 및 공사비 절약, 건축물의 균형유지로 부동침하 침하, 하부지반 지지층이 수평으로 균질해야함 I. 정 의 Floating Foundation이란 연약지반이 구조물을 축조하는 경우, 흙파기한 중량과 구조물 자중이 균형을 이루도록 만든 기초이다. 설계 시 안전을 고려하여 구조물 중량은 굴착토 중량의 2/3정도가 적합하다. II. Mechanism 건물중량
Key word : 집수, 배수, 이중의 PDD관, 지하수, 트렌치를 굴착하지 않고, 드레인 보드, 토목 섬유시트 I. 정의 굴착면 지반을 통해 침투하는 지하수를 드레인 보드를 통해 집수하고, 집수와 배수 역할을 하는 이중의 PDD관을 통해 집수정으로 배수하는 공법이다 기초시공 기준면에 트렌치를 굴착하지 않고 기준면 정리 한 후 PDD관 + 드레인 보드의 배수관을 시공한다. II. 시공 순서 기준면 정리 및 토목 섬유시트 깔기 드레인 보드 깔기 PDD관 설치 및 연결 PE 필름 깔기 버림 Con'c 타설 III. 사용재료 토목섬유시트 드레인보드 PDD관 PE 필름 IV. 시공 시 유의사항 집수정쪽으로 구배 이음부 시공 철저 재료 보관 시 파손 유의
Key word: 정지토압, 주동토압, 수동토압, 내부마찰각, 흙막이 및 지보공 응력산정, 흙막이부재 변형량 산정 I. 정의 토압은 흙과 구조물이 접촉하고 있을 때 흙에 의해서 접촉면에 작용하는 수평방향에 작용하는 압력이다. 토압의 종류로는 정지토압, 주동토압, 수동 토압이 있다. II. 흙막이벽에 작용하는 토압 흙막이벽 작용하는 토압산정 → 흙막이 지보공 응력산정 → 흙막이부재 변형량 산정 III. 토압의 종류 정지토압 : 횡방향 변위가 없는 상태에서 수평방향의 토압 주동토압 : 뒷채움 흙으로부터 옹벽이 멀어질 때 뒷채움 흙이 팽창하여 파괴될 때 수평방향 토압 수동토압 : 뒷채움 흙으로부터 옹벽이 가까워질 때 뒷채움 흙이 압축하여 파괴될 때 수평방향 토압 IV. 토압과 마찰각 → 정지토압은 내부마찰각이..
Key word: 지중경사계(Inclinometer), 간극수압계(Piezometer) 또는 지하수위계 (Water Level Meter), 지중침하계(Extensometer), 지표침하계(Surface Settle ment), 변형률계(Starin Gauge), 하중계(Load Cell), 건물 경사계(Tilt Meter), 균열 측정기(Crack Guage), 진동소음측정기(Vibration Meter) I. 종류 지중경사계, 지중수직변위측정계 (Inclinometer) 간극수압계(Piezometer) 또는 지하수위계 (Water Level Meter) 지중침하계, 지중수평변위측정계 (Extensometer) 지표침하계(Surface Settle ment) 변형률계(Starin Gauge), 하중계(..
Key word : 영구배수공법, 집수정 유도 및 배수, 부상방지, Drain Mat System, Trench System, 지반조사와 실제 영구배수 설치 시 지하수위 일치여부 확인, 토목도면상 배수펌프 및 집수정 크기 등 일치, 배수시설 고장을 고려하여 유지관리 계획 및 대책수립 I. 정의 영구배수공법은 기초저면에 인위적인 배수층을 형성하여 유입된 지하수를 배수로에 따라 집수정 유도 및 배수하는 배수공법이다. 지하구조물에 대한 양압력으로 인한 건물의 부상을 방지한다. II. 시공순서 바닥정리 → 토목섬유깔기 → 골재 or 배수로 설치 →배수로 연결 및 PE 필름 → 버림 Con'c III. 특징 슬래브 하부에 유입되는 지하수 처리에 효과적 지하외부 양수 작업시 발생하는 주변 침하문제 해결 시공 간편,..
key word : 지반강화, 저유성 Mortar 주입, 원기둥 고결체, 지반 압축강화, 진동소음 발생하지 않음, 복합지반 형성, LW 공법(저압 Seal 재 주입/차수), JSP 공법(초고압 분사주입/ 차수 지반보강), SGR 공법(저압 복합주입/ 차수) I. 정의 CGS 공법은 저유동성 Mortar 주입하여 기둥형상의 균일한 고결체를 형성함과 동시에 지반을 강화하는 공법이다. 주입재는 공극에 침투하는 것이 아니라 압력을 가하면서 지반을 압축강화한다. II. 시공순서 지반 천공, 인발 Jact 설치 → 1단계 주입/상승 → 단계별 반복주입 => 지반 압축강화 및 원기둥 고결체 형성 III. 특징 복합지반 형성으로 지반보강효과 우수 작업공정이 단순하여 시공관리 수월 진동 소음이 발생하지 않음 IV. 지반..
Key word. Slurry Wall, Rock bolt, Underpining, 경암, Counter wall, Soldier pile(버팀 기둥), Shot concrete, 기초공사, 슬러리 월 I. 정의 Counter Wall이란 Slurry Wall 하단부, 경암으로 인해 굴착이 불가능한 경우 Soldier Pile(버팀 기둥, H-pile) 또는 Rock Bolt 등을 이용하여 Underpining을 통해 예정된 깊이까지 벽체를 시공하는 공법이다. 일반적으로 암반 굴착 성능이 안나오는 경암이 분포하는 경우 사용한다. II. 시공순서 굴착 및 상부 슬래브 타설 굴착진행 및 락볼트 시공 숏크리트 타설 최종굴착 및 Underpinning Mat 콘크리트 타설 Counter wall 시공 III. ..
Key word : 강제 집수, Well point(흡수관), 투수계수가 작아 중력으로만 집수가 어려운 지반, 진공이나 전기에너지 사용하여 강제배수, 흙의 안전성 대폭 향상, 다단계 Well point, rksrurdms 1~1.5m, 주변은 필터층(모래) 형성 I. 정의 Well Point 공법이란 소구경의 Well를 다수 삽입하여 진공 Pump를 가동시켜 흡입하여 지하수위를 저하시키는 공법이다. 토립자가 작고 투수계수가 작아 중력의 작용만으로 지하수의 유동이 느린 지반에 적용한다. II. 시공순서 천공 → Riser Pipe 설치 → Filter 재료 충전 → Header Pile 연결 → 진동 Pump 가동 → 투수계수 10^-1 ~ 10^-4 정도의 모래지반에 유효 III. 특징 진공이나 전기에너..
Key word: 우물 설치 후 펌프 양수, 중력 집수, 투수계수 10^-2cm/sec 이상 토질적용, 깊은 양수, 개소당 양수량이 크다, 우물의 수위는 계획수위보다 10m정도 낮게, Well 굴착 시 우물벽 안정에 유의(벤토나이트 용액 사용 금지), 우물고갈 지반 침하 부동침하에 대한 대책 강구 I. 정의 Deep Well 공법은 지하수를 저하시키는 구역의 주위에 지름 200~800mm 정도의 우물을 설치하고 펌프로 양수하여, 지하수위를 저하시킨다. 지하수를 중력에 의해 집수하여 펌프를 사용하여 지상으로 배수한다. II. 시공순서 Casing 설치 및 천공 → Strainer Pipe 설치 → Filter 재료 충전 → Pump 설치 및 양수량 산정 → In Casing 인발 III. 특징 투수계수 1..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