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word : BC cutter와 안정액 굴착, 철근망 변형 방지, 굴착벽면 붕괴방지를 위한 안정액 관리, Koden Test(Transit 병행)로 굴착공 수직도 관리, 저소음 및 저진동 그리고 차수성이 좋아 도심지 적용, Slime 처리(1차 Desanding, 2차 Cleanning), Balance Frame 사용으로 양중 시 변형방지 I. 정의 Slurry Wall 공법은 BC Cutter와 안정액을 이용하여 지중 굴착 후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속벽 벽체 조성하는 흙막이 공법이다. 굴착벽면 붕괴 방지를 위해 안정액 품질관리와 시공정밀도 및 Con'c 품질확보가 중요하다. II. Slurry Wall 시공순서 Guide Wall 설치 → BC Cutter 굴착( 안정액 관리..
Key word : 주열실 흙막이 공법, 경화제와 흙 혼합하면서 굴착, Cement Milk(물시멘트 350%이하) 분출 흙막이 벽체 현성, 저소음 및 저진동 공법, 지하수위가 높고 높은 강성이 요구되지 않는 지반, 연속 방속 / Element 방식 / 선행 방식, 적용토사 N
Key word : 주열식 흙막이 공법, CIP (Cast in Place Pile), 장비가 소형 협소에 장소 시공 가능, 지하수위가 낮은 지반, Auger 굴착, 철근망 삽입, Con'c 타설 or 골재 충천 후 Mortar 압입, 피복두께 확보, 수직정밀도 확보, 철근망 변형 방지 I. 정의 CIP는 흙막이벽 공법으로 지반을 Auger로 굴착하고 지상에서 조립된 철근망을 삽입 후 Con'c를 타설하여 주열벽을 형성한다. 지하수위가 낮은 지반에 적용하며 장비가 소형이므로 협소한 장소에서도 시공이 가능한다. 벽체 강성은 우수하나 시공정밀도 확보가 어려워 보조대책필요하다. II. 시공순서 지반 굴착 → 철근망 삽입 → 골재 충천 및 Mortar 압입 or Con'c 타설 수직 정밀도, 피복두께 확보 및 ..
Key word : Sheet Pile, 흙막이 공법, 접속성, Guide Beam(H형강), 수직 정밀도, Joint 부 차수성과 구조안전성 확보, 차수성, 매입 시 진동 소음 발생, Water Jet 병용 시 최종 1~2m 항타, 지중 및 공중 장애물 철거 및 이설 I. 정의 Sheet Pile 공법은 접속성이 있는 Sheet Pile을 맞물리게 하여 연속 타입하거나 매립하여 흙막이벽으로 하는 방법이다. 지반에 따라 타입공법이 어려우며, 타입공법의 경우 진동 소음이 문제가 된다. II. 시공순서 Guide Beam 설치 → Sheet Pile 자립 → 양단 부 매입 → 중앙부 매입 Sheet Pile의 수직정밀도를 높여 Joint 부 차수성과 구조안전성 확보 III. 특징 차수성이 있어, 지하수위가 ..
Key word : 흙막이 공법, H-Pile, 차수성 없음, 수압이 걸리지 않음, 토류판의 흙 뒤채움, 굴토한 가능한 빨리 시공, 수직도 확보 중요, H-Pile 삽입 시 진동소음 발생 I. 정의 수직으로 설치한 H-Pile에 흙막이 토류판을 설치한 공법으로 차수성이 없지만 수압에 걸리지 않으므로 가설구조물에 유리하다. H-Pile의 수직도 확보가 중요하며 토류판의 뒷채움을 밀실하게 다져넣는다. II. 시공순서 H-Pile 타입 → 굴착 및 토류판 설치 → 뒤채움 → 벽체 지보공 설치 III. 특징 차수성 없음 → 지하수위가 낮은 지반에 적용 수압에 걸리지 않아 가설구조물 유리, 경제적 H-Pile 삽입 시 진동소음 발생, Auger 천공 병용 시 저감 IV. 시공 시 유의사항 H-Pile 수직도 확보..
Key word : 함수비, 간극비, 예민비, 연경도, 강도, 변형, 액상화, 압밀, 투수성, 전단강도, 불투수층, 투수층 I. 분 류 물리적 함수비, 간극비, 예민비, 연경도 역학적 강도, 변형, 액상화, 압밀, 투수성 II. 물리적 성질 함수비 함수율 예민비 간극비 간극률 포화도 연경도 흙이 함수량에 따라 액성, 소성, 반고체, 고체 상태로 변화하는 성질이다. II. 역학적 성질 전단 강도(Shear Strength), r = 점착력 + 마찰력 흙이 전단파괴 시 전단응력 최대값 C : 점착력 , 마찰력 : 마찰계수 * 탄센트, 모래는 점착력 =0, 포화점토는 마찰력 =0 압밀 : 점성토 지반에 외부 하중 또는 외력을 가해서 간극 내 (간극수)가 배출되면서 압축되는 현상 액상화 : 모래지반에 순간적인 ..
Key word : 다짐 불량 시 지반 침하, 실적률이 크고 다지기 쉬운 흙(사진톨), 점성토는 장기침하 우려, 30cm 두께로 고르게 깔고 반복 다짐, 밀도가 가장 높은 함수상태, 되메우기 후 최종마감은 1개월 정도 시간적 여유, 점성토 전압방법(타이어롤러), 사질토 전압진동(진동롤러), 1급 다지기 90% 2급 다지기 95% I. 정의 되메우기 시 점성토와 같이 장기적 침하가 발생하는 흙은 사용하거나 다짐 불량 시 지반 침하 등 하자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되메우기 시 적합한 흙은 선정하고 다짐기준을 준수해야 한다. II. 다짐기준 1급 다지기 90% 다짐도 2급 다지기 95% 다짐도 → 땅파기 후 덮는 되메우기, 지표면 1m까지 1급/ 잔여부 2급 다지기(기초지반 포함) III. 되메우기 ..
Key word : 점성토, 회전 Moment, 전단 파괴 발생 시, 십자형 Vane를 Rod 선단에 장착, 사질토는 표준관입시험, 깊이 10m이상 Rod 되돌음 현상, 일정 깊이 유지 및 최대회전력 기록, 회전 로트 보호 및 충분한 지름 사용 I. 정의 Vane Test는 Rod 선단에 십자형 Vane 장착하여 지중에 압입 및 회전시켜 흙이 원통형으로 전단파괴 될 떄의 회전 Moment를 구하는 시험이다. 연약 점토질에 적합하며 점착력을 판별하여 기초 저면의 지내력을 확인한다. II. 시험 방법 Boring → Vane 압입 후 회전 → 회전 Moment 측정: 전단파괴 발생 시 (점성토는 Vane Test, 사질토는 SPT(표준관입시험)으로 지내력 판정) III. 특징 연약 점토질에서 사용 굳은 진흙..
Key word : 매설물(지중 장애물), 도면조사, 현지조사, 침하계측, 매설물 현황도, 인력터파기, 사전협의, 시험굴착, 지하고동은 되우기, 문화재 발굴 시 7일이내 신고, 배관 파손 방지 I. 정의 매설물 조사는 Earth Anchor로 인한 배관 파손 등 공사로 인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철저히 실시한다. 도면 조사, 현지조사, 시험굴착 등 방법이 있으며 지중 공사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민원을 방지한다. II. 주변 매설물 조사 방법 도면조사 : 설계도, 공공매설물 관련기관 현장조사 : 시험파기, 탐사기 사전협의 : 감시체제 및 응급 시 처리방법 확립 침하계측 → 지중구조물(Earth Anchor 등)와 매설물 위치 관계 도면화, 매설물 현황도 작성하여 관리 III. 조사 및 지중작업시 유의..
Key word : 지내력 시험, 평판재하시험, 최소 3개소 이상, 시험간격 재하판 지름 5배 이상, 허용 지지력 항복하중 1/2과 극한지지력 1/3 중 작은 값, 재하간격 15분 이상, 말뚝재하시험 : 정재하시험과 동재하 시험, 말뚝박기시험 : 시항타 I. 정의 평판재하시험은 구조물을 설치하는 지반에 재하판을 통해 하중을 가한 후 지반의 지지력을 산정하는 시험이다. 최소 3개소 이상 시험을 실시하며, 재하판 지름의 2배 이상 깊이까지만 흙에 정보를 제공한다. II. 시험방법 최소 3개소 시험하며 시험간격은 재하판 지름의 5배 이상 예비재하 후 1 cycle or 다 Cycle 방식 재하간격은 최소 15분 이상 하중증가는 100kN/m^2 이하 또는 예상지지력의 1/5이하 침하량 측정은 하중 증가 바로 ..
Key word : 원위치 시험, 지반조사, Sampling/토질조사/지하수위 확인, 오거식/수세식/회전식/충격식, Boring 깊이, 신뢰성 있는 Test, 공벽 보호, 보링의 지름, Slime 제거, 채취 Sample Sealing(밀봉) I. 정의 보링이란 지반의 구성 확인이나 흙의 성질을 알기 위해 현장에서 실시하는 원위치 시험을 하기 위해 천공하는 작업이다. 대표성 있는 위치를 선정 및 신뢰성 있는 Test를 하는게 중요하며 Sampling, 토질조사 및 지하수위 확인이 목적이다. II. Boring 종류 구분 내 용 오거식 보링 연약한 점토 및 중립의 사질토 수세기 보링 토사, 균열이 심한 암박 회전식 보링 점착성이 있는 토사층 충격식 보링 거의 모든 지층에 적용 III. Boring 깊이 (..
★ 기출문제 I. 개요 타워크레인 설치 시 야적 및 조립공간을 확보 및 가능한 조기 설치 운용하고 2대 이상 설치 시 Simulation를 통해 검토해야 한다. 운용시에는 양중부하 평준화와 우선순위 및 공종분배하여 가동효율을 증대해야하며 해체 시에는 철저한 계획 및 검토로 후속공사 영향을 최소화해야한다. II. 타워크레인 설치 1) Crane간 상호간섭 배제 Crane간 회전 이격거리 2m이상 확보 Level 단차 확보 물리적 충돌방지시스템 적용 → Crane간 간섭 배제로 효율증대 및 안전성 확보 또한 설치시 시 유의사항 야적 및 조립공간 확보 : 설치용 Crane, Mast 및 Jib 설치는 가능한 빨리하여 족운용 2개 이상 설치 시 시물레이션 실시 2) 안전검사 실시 자재 입고 시 검사 설치 시 검..
★ 기출문제 I. 개요 초고층 건축공사에서 자재 양중 시 건물의 높이로 인한 바람에 영향, Cycle Time 지연뿐만 아니라 도심지라 공간이 협소하다. 이를 고려해서 양중기계 선정 및 배치 시 공간 활용, 풍하중 영향 등을 고려해야 한다. II. 자재 양중계획 시 고려사항 1) 고려사항 설계도서 검토 : 건물 높이, 설계도 및 현장설명서 장비선정 : Floor Climbing, 고속 Lift Car 등 설치 운용계획 (시기별 양중내용) 공정, 원가, 안전 장비별 고려 (T/C, Lift Car, CPIB 2) 공사단게별 양중 내용 및 장비운용계획 초기 : 현장 Setting 중기 : 골조공사, 마감재료 및 외장재 후기 : 해체 및 내부장식물 III. 양중기계 선정 1. T/C 기종 선정 1) 용량 검토..
★ 기출문제 62회 종합가설계획에서의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70회 가설공사에 있어서 다음 사항을 설명하시오 1) 공통가설공사와 직접가설공사의 주요항목 2) 공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3) 가설계획시 유의사항 75회 초고층 공사시 가설계획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81회 도심지 지하4층, 지상20층 규모의 오피스 건물 신축공사의 종합가설공사 계획 수립 시 유의사항을 설명하시오 83회 가설공사의 특성과 계획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92회 대지가 협소한 도심공사에서 지하 6층, 지상 20층이상 건물축물의 효율적 시공을 위한 종합가설계획을 설명하시오. 98회 건축현장의 친환경 요소를 고려한 가설공사 계획에 대하여 설명하시외. 100회 도심지 지하 4층, 지상 20층, 연면적 30,000m^2 규모의 업무시..
Key word : 고강도 철근, 항복강도 400Mpay 이상, 부재 단면 축소, 강성 확보, 강재 저감, 취성에 약함, 녹발생 우려, 균열폭 및 처짐 증가, 500Mpa 이상 초고강도 철근, 인장강도 증가 I. 정의고강도 철근이란 철근의 항복강도가 400Mpa 이상의 철근을 말하며, 500Mpa 이상이며 초강도 철근이다.고강도 Con'c와 함께 사용하여 부재 단면 축소와 강성 확보가 가능하지만 취성 파괴에 약하고 균열 및 처짐이 증가한다.II. 고강도 및 일반철근의 응력 및 변형률 → 일반철근 대비 인장강도 25% 증가 III. 고강도 철근의 특징 장점인장강도 증가부재단면 축소강재 저감 단점취성 파괴에 취얌녹발생 우려균열폭 및 처짐 증가IV. 적용 시 고려사항이음길이 25% 증가일반철근 대비 단가상승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