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word : 가설 Gate, 진출입 원활, 자재 야적 용이, 유효폭 4.5m 이상, 유효 높이 4m 이상, Floding Type 도심지, 별도 출입물 설치, 경도등 또는 부저 설치, 충분한 강도 확보 I. 가설 Gate 설치 시 위치 선정Gate는 인접도로의 차량 흐름에 영향을 적게 주어 대지 내 진입 및 자재 야적이 용이한 곳에 설치한다.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전주, 가로등, 가로수 등에 의해 출입에 지장이 없는 곳에 설치한다.II. 가설 Gate 종류 Folding Type : 공간 활용이 우수하여 도심지 사용Swing Type : 도심지 부적절Sliding Type: 단차 등 하자발생Shutter TypeIII. Gate 설치 규격유효 폭 : 4.5m 이상, 진입 각도 및 회전 범위 고려하여..
Key word: 대지경계, 평면 위치 결정, Bench Mark, 벤치 마킹, 건물 높낮이 결정, 대지 경계 및 면적, 2개소 이상 설치, 인접대지 및 도로관리자 입회, 훼손 방지 I. 정의 경계 측량은 대상 부지의 평면 위치를 결정할 목적으로 공사 착수 전 필지의 경계와 면적을 측량한다. Bench Mark는 건물의 높낮이 결정의 기준으로 기존구조물이나 신설말뚝을 이용한다. II. 측량방법 줄 쳐보기, 개략적인 건물의 위치 기준선의 먹줄치기, 기준 교점 기준점 설정 III. 설치방법 및 확인사항 구분 대지경계측량 Bench Mark 시기 공사 착수 전 공사 착수전 ~ 외부 부대공사 착수 전 방법 구청에 경계측량 신청 담당원 입회하에 설치 용도 대지 및 건물의 평면위치 Level의 기준점 유의사항 인접..
key word : 연약지반, 경질지반, 선단지지력, 주변마찰력, Slip Layer, 부마찰력, 지반 지지 I. 정의 마찰말뚝 : 연약지반에서 선단지지력 확보가 어려운 경우 주변 마찰력에 의해 지지하는 말뚝이다. 지지말뚝 : 말뚝을 경질지반까지 도달시켜 선단 지지력으로 지지하는 말뚝이다. II. 마찰말뚝과 지지말뚝의 원리 마찰말뚝 지반변화에 예민 공기 영향 적음 선단 하중지지 거의 없음 지지말뚝 연약지반 영향 적음 공기 많이 소요 경질 지반 지지 중요 III. 적용 시 고려사항 마찰말뚝 : 부마찰력(Negative Friction) 발생 고려 → Slip Layer 적용 지지말뚝 : 토질주상도를 통한 경질지반 위치를 파악하여 이를 고려하여 Pile 길이 결정
Key word: 전단벽 구조, 이중 전단벽 System, 전단벽 구조, Coupled Action, 초고층 건축물, 횡력에 대한 저항성 증가, 일체화 거능, 철골 접합부 용접관리, 양중 계획 I. 정의Link Beam이란 전단벽 구조에서 단일전단벽을 이중 전단벽 System으로 변환시켜주는 부재이다.주로 초고층 건축물 코어, 외부 벽체간 연결을 통한 양측 벽체간 Coupled Action 역할을 수행하는 구조 부재이다.II. LInk Beam Mechanism → Coupled Action을 통한 횡력 저항성 증가 III. 특징초고층 건축물 구조 적용횡력에 대한 저항석 증가일체화 거동IV. 시공 시 유의사항철근 배근 주의부재 양중 계획 및 안전관리 철저철골 접합부 용접관리 철저
Key word : 최적화 설계, 필요한 응력에 대응, 변단면 주재, 공기 단축, 공장제작, 장 Span으로 공간활용, 부재형상 최적화, 재료 절감, 경제성 증가 I. 정의PEB System은 Computer Program를 이용하여 부재에 필요한 응력에 대응하도록 최적화 설계, 제작, 시공하는 철골 구조물이다.PEB는 휨모멘트 크기에 따라 부재현상을 최적화한 변단면 부재를 설계 및 공장제작 및 현장에서 볼트 접합하여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II. PEB System Mechanism Moment에 따른 경적 설계가능부재형상 최적화로 재료 절감III. 특징재료 절감으로 인한 경제성 증가공장 제작 및 Bolt 접합으로 공기단축장 Span으로 공간 활용성 증가 IV. 적용 시 유의사항Anchor Bolt 시공..
Key word : 수축에 대한 보상, 건조수축 감소, 화학적 프리스트레스, 균열 방지, Sample 시공, Con'c 품질확보 I. 정의팽창 콘크리트는 팽창재를 사용한 Con'c로서 Con'c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저감하여 내구성 증진 및 품질확보를 위해 사용한다.화학적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건조수축 및 자기수축 등에 보상하여 균열을 방지한다.II. 팽창 Con'c Mechanism 구조물 구속 → 수축 발생 → 균열 발생 : 팽창 콘크리트 수축에 대한 보상을 하여 균열 방지 III. 특징건조 수축 및 자기수축에 대해 보상균열발생 저감Con'c 품질확보IV. 시공 시 유의사항규정 배합비 준수Sample 시공으로 하자발생유무 확인현장가수 금지 등 표준시방준수
Key word: 길이 변화율과 폭 변화율의 비, 프와송수의 역수, 재료의 역학적 성질, 재료 거동 파악, 합리적 설계, 최대값 00.5, 소성 항복 시 프와송비 증가 I. 정의프와송비는 부재가 한 방향에 대해 힘을 받을 때 이 방향에 대한 길이 변화율과 지각을 이루는 부재의 폭 변화율과의 비이다.프와송수는 프와송비의 역수이며, 프와송비는 재료의 역학적 특징을 나타내어 합리적인 설계 시 활용된다.II. 프와송비 산출 III. 특징프와송비는 이론적으로 최대값 0.5을 갖음재료의 역학적 성질을 나타냄소성 항복 시 프와송비 증가IV. 활용인장, 압축 시 재료의 거동 파악설계 시 특성을 반영합리적 설계
Key word : Top Down System, 대구경 말뚝, 전단지압띠를 용접, 전단연결장치, 용접없이 시공용이, Slab 연결부 강도확보, 접합부 품질확보, 수직도 확보, 전단지압띠 용접시 품질관리 I. 정의 RC조 Top Down System으로 선기초 기둥에 전단지압띠를 용접하여 전단연결장치에 의해 Slab와 연결하는 시스템이다. 종래 H형강, 각형강관을 이용한 선기초 기둥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공법이다. II. ES Top Down 구성과 시공 순서 III. 특징 용접없이 시공용이 Slab 연결부 강도확보 접합부 품질확보 IV. 시공 시 유의사항 수직도 확보
Key word : 말뚝 이음, 강재 연결블록, 고장력 볼트, Torque 검사, 균일한 품질확보, 시공용이, 경제성, 친환경적 공법, 수직도 확보, 이음시간 단축 I. 정의 무용접 말뚝이란 PHC 파일의 균일한 품질확보를 위해 상하부 파일 사이에 강재 연결 블록을 놓고 고장력 볼트로 체결하여 응력을 유지하며 연결하는 공법이다. 시공 시 기후조건이나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한 영향이 없어 용접 이음보다 간편하며 시공성이 좋다. II. 무용접 말뚝 순서 III. 특징 이음부 파손 변형방지로 품질확보 이음부 간격 경제적 상하부 말뚝 축심일치, 수직도 확보 생산성이 높고 친환경적 공법 IV. 용접 이음과 비교 구분 무용접시 용접식 이음구조 직접 볼트이음 (단순 접합) 품질확보 품질확보 용이 기후 및 현장조건에 따..
Key word: 시항타, 매입말뚝, 본항타, 본항타와 동일조건, 파일의 허용지지력 산정, 말뚝 길이 산정, 관입량 결정, Hammer 중량, 항타장비, 이음방법, 두부머리 파손방지, 연속항타, 수직도 확보, 5회 타격시 총 관입량 6mm이하 시 항복 I. 정의 시항타는 기초공사에서 기성파일의 본항타에 앞서 발생가능한 하자, 시공 조건 및 방법 들을 결정하기 위해 본 항타와 동일한 조건으로 실시하는 시험이다. 시항타를 통해 파일 허용지지력 산정 , 파일 깊이, 두부머리 파손 여부 파악 등을 활용하며 5회 항타시 총 관입량이 6mm이하가 되면 항복상태까지 매입한다. II. 시항타 관리기준 본항타와 동일한 조건 말뚝이 선단에 도달하면 Rebound Check 실시 정재하 및 동재하 시험 실시 기초 면적에 따..
Key Word : Con'c와 합성궁조, 전단응력 전달, 일체성 확보, 연결재, Shear Connector, 전단 연결철물, 모재와 연결, 현장타설 콘크리트와 일체화, 합성 Slab(Half Slab), 철골조, GPC 공법, 스터드 볼트 I. 정의Con'c와 합성구조에서 양자 사이의 전단응력을 전달 및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하는 연결재를 'Shear connector'라고 한다.모재와 현장 타설 Con'c Slab와의 일체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II. Shear Connector의 종류합성 Slab(Half PC Slab) 공법의 Shear Connector PC판과 Tapping Concrete의 타설이음면에 일체성 확보용 철근 철골조의 Shear Connector GPC 공법의 Shear ..
Key word : 동재하 시험 Data 기초, 파일지지력 확인, 최종 관입량, 편심 정도, 5회 관입량 6mm이하, 이음부 품질, 말뚝머리 파손 여부 I. 정의 기성 콘크리트 말뚝의 동재하시험으로 얻은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파일 항타 시 관입량, 리바운드량을 측정하여 파일 지지력을 확인하는 시험이다. 최종 관입량을 측정하며 타격횟수가 5회에 총관입량이 6mm 이하인 경우 항복상태로 간주한다. II. Reboud Check 기록 III. Rebound Check 확인사항 최종 관입 깊이 지지력 확인 편심 정도 및 이음부 품질 말뚝 머리 파손 여부 IV. 매입말뚝 시험 종류 Rebound Check 동재하 시험 정재하 시험 추가. 말뚝이음 방법에 따른 차이 구분 무용접시 용접식 이음구조 직접 볼트이음 (단..
Key word: 지하층 합벽 거푸집, Tie Less form, 앵커 매입으로 측압대응, 매입 후 인발시험, Brace Frame, Soldier System I. 정의 벽체 양면에 거푸집 설치가 곤란한 경우, 한 면에만 거푸집 판을 설치하고 Form Tie 없이 콘크리트 측압을 지지 하는 공법이다 Brace Frame : 거푸집판과 지지프레임을 일체제작하여 설치 Soldier System : 거푸집판과 별도로 지지프레임을 현장 별도 설치 II. Tie Less Form 설치 개념 및 고정 형태 → 앵커 매입 길이는 콘크리트 기초에 260 ~ 430mm 매입 III. 특징 하부 앵커 매입을 위한 지지층 필요 설치, 해체가 단순하고 전용횟수가 높음 IV. 시공 시 유의사항 앵어 매입 시 콘크리트 측압에 ..
Key word : 바닥거푸집과 지주를 일체로 제작 및 부재화, Slab 바닥판 거푸집, 초고층, 수직 수평이동, 반복적 시공, 전용성 우수, Slab 하중에 의해 처짐 우력, 전용 횟수 준수 및 박리제 사용, Truss형 및 Support형, 공기 단축, 전용성 우수, 해체비용 절감, 안전성 향상 I. 정의바닥거푸집과 지주를 일체로 제작 및 System화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Slab 바닥판 거푸집으로 주로 초고층에서 적용되는 System 거푸집이다수직, 수평으로 이동하여 반복적으로 시공이 용이하며 전용성이 우수한다.II. Table Form 시공순서 → 수평 및 수직 이동하여 반복사용하여 경제성 우수 III. 시공 시 유의사항Slab 하중에 의한 처짐에 유리양중(수직) 및 수평 이동 시 안전에 유의..
Key word : 건물 내 외부 기압차로 인해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 개구부 등 수직공간, 실 내외 온도차에 의한 압력차이로 공기상승, 화재 확산, 냉난방 에너지 낭비, 소음 및 결로, 방풍실 및 회전문 설치, 공조시스템, 공기 유출구 설치 I. 정의연돌효과, Stack Effect란 건물 내외부의 공기 밀도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이다.고층건물의 계단실이나 E/V와 같이 수직공간에서 실내외 온도차에 의한 압력차이로 인해 공기가 상승하는 현상이다.II. Stack effect Mechanism →Stack Effect로 인해 화재 시 급속도로 확산 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조치가 필요함 III. 문제점실내 공기 유출로 인한 에너지 상실E/V 오작동 및 창호 개폐 불량누기와 침기로 인한 소음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