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 word : Pick-up Area, 대지경계선, 공유작업면적, Mast Climbing, Floor Climbing, 건물 내외부 설치, 대수산정, Mobile Crane I. 배치 시 가능한 넓은 Pick-up Area 확보 대지경계선 밖으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배치 → Luffing Crane Crane간 공유작업면적 확보가능한 넓은 Pick-up Area 확보II. 건물 내/외부 설치에 따른 특징 구분건물 내부, Floor Cimbing건물 외부, Mast Climbing작업반경건물 내 넓은 작업반경 확보Stock Yard 넓게 사용지지 방식본체 구조물에 지지별도 기초 시공후속작업마감 작업 등 영향이 큼본구조물과 간섭 없는 곳에 배치해체어려움상대적으로 원활→ 건물 내부에 설치했을 때 별도..
Key word: Tower Crane, 타워크레인, 기종선택, Mast Climbing, Floor Climbing, Luffing Crane, T-Tower Crane, 최단부 인양중량, 회전 반경, 지지방식, 기초 방식 I. 종류 구분 내 용 수평이동 고정형 벽체 또는 바닥에 고정 이동형 바퀴 또는 Rail 이용 수직이동 Mast Climbing Mast를 끼워가면서 수직상승 Floor Climbing 구조물 바닥에 지지하여 수직상승 Jib의 작동방식 T-Tower Crane Trolley 이동 Luffing Crane Jib를 상하로 움직이면서 회전 II. 기종선택시 고려사항 1) 용량, 최단부 인장중량 감안 인양자재나 장비의 최대중량 고려 최단부 인양중량을 감안하여 결정 T-Tower Crane..
Key word : 제조자의 기술능력, 생산능력, 제품의 성능, 생산제품 동일 성능 여부, 안전인증마크, 기계 기구 및 설비(10종), 방호장치(8종), 보호구(12종) I. 정의안전인증제는 가설기자재에 대해 제조자의 기술능력 및 생산체계와 제품의 성능을 종합적으로 심사하는 제도이다.기계 기구 및 설비, 방호장치 그리고 보호구에 대해 총 30종이 있으며, 안전인증기준에 적합한 경우 안전인증마크(Ks)를 사용할 수 있다.II. 안전인증 절차 1단계 : 서면심사2단계 : 기술능력 및 생산체계심사3단계 : 제품심사 (안전인증기준 충족 및 사용설명서 일치)4단계 : 사후관리 (생산제품이 동일성능 유지)III. 안전인증대상기계 기구 및 설비 : Crane, Lift 등 총 10종방호장치 : 프레스 방호장치 등 총..
Key word : Con'c 포설장치, 구조체 상승에서 따라 Mast 상승시켜 붐을 연결하여 타설, 철근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적은 인원으로 빠르게 타설, 코어부나 Slab Open 구간에 설치, 정기적인 점검, Zonning 계획, 초과범위 Pump Car 타설 혹은 주름관 이용, 폐색현장 I. 정의CPB는 고층 건물의 Con'c 타설 시 구조체의 상승에 따라 Mast를 상승시켜 붐을 연결하여 Con'c 포설하는 장치이다.수직 상승용 Mast가 있으며 철근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적은 인원으로 빠르게 타설할 수 있다.II. CPB 타설 방법 → 정기적인 점검 필수, 관(Boom)의 두께, 이음부 → 초과범위는 주름관이나 Pump Car를 이용하여 타설 III. 특징적은 인원으로 빠르게 타설가능타설 시 철근..
Key word: Plug 현상, 서중기나 동절기 집중, 배관 내 이물질, 타설 시간 미준수, Con'c 재료분리, Cold Joint, 구조물의 품질에 악영향, 압송부하 증가, Con'c 빈배합, 폐색 현장 I. 정의Plug 현상은 서중기나 동절기에 주로 발생하며 Con'c 타설 시 Pumping 과정에서 Con'c 빈배합, 배관 내 이물질, 타설 시간 미준수 등으로 Pipe관이 막히는 현상이다.Plug 현상 발생 시 Con'c 재료분리, Cold Joint 등 Con'c 품질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신속히 막힌 배관을 찾아 교체해주는 것이 중요한다.II. Plug 현상 발생 Mechanism → 배관 지름, 길이, Con'c 배합, 기온 변화에 의해 폐색현상 발생=> 신속히 막힌 배관을 찾아 교체해..
Key word : 설계기준강도, 배합강도, 구조 설계 시 기준, 재령 28일 압축강도, 현장 배합 시, 설계기준 강도에 적당한 계수를 곱, 호칭 강도(레미콘 주문시 강도) I. 정의설계기준강도는 구조 설계 시 기준이 되는 강도로서 재령 28일 압축강도를 기준으로 한다.배합강도는 설계기준강도에 적합한 계수를 곱하여 할증한 압축강도를 말하며, 현장 배합시 적용한다.II. 설계기준강도 및 배합강도 비교 구분설계기준강도배합강도표기FckFcr적용부재 설계 시현장 배합시강도100100 + a(할증)III. 설계기준강도 산정재령 28일 강도 Fck= 3 * 장기허용응력도 Fck= 1.5* 단기허용응력도Fck 범위는 15~30MpaIV. 배합강도와의 관계(s는 압축강도 표준편차)Fck = Fck + 1.34*(s, ..
key word: 타설 기준 높이, 설치 및 제거 용이, 가시성, 내구성 및 시공성, 정밀성, 구조용 level Spacer, 슬라브 Level 표시 I. 정의구조용 Level Spacer는 Slab의 Con'c 타설 시 타설 기준 높이를 표시해주는 전용자재이다.구조용 Level Spacer는 설치 및 제거가 용이하고 타설 중에도 눈에 잘 보여야 하며 내구성이 좋아 유지관리에 있어 원활해야 한다.II. 구조용 Level Spacer 구성 III. 기능상부 Slab Con'c Level 표시중앙부 level 조정 +30mm하부 위치 고정IV. 요구성능가시성 : 타설 중에도 눈에 잘보이는 색상정밀성 : 정밀한 Level 조절내구성 및 시공성 : 복원 능력 및 설치 제거가 용이할 것
Key word : 수직 수평 분리타설, 부재의 강도 차이 1.4배 이상, 내민 길이 600mm 이상, Cojd Joint 발생 우려, Con'c 일체화가 되도록 충분한 지동 다짐, V/H 분리타설 I. 정의V/H 분리 타설은 수직 수평 부재의 강도차이가 현저하 경우 Con'c 강도 확보를 위해 수직, 수평 부재를 분리하여 타설하는 공법이다.수직 부재의 강도가 수평 부재의 강도보다 1.4배 이상일 때 반드시 V/H 분리타설을 해야 한다.II. V/H 분리타설 Process III. V/H 분리타설 기준수직 부재(벽,기둥) Con'c 강도 / 수평부재(Slab, 보) Con'c 강도 > 1.4→ 강도 차이가 1.4배 이하일 경우 적용 불필요 IV. 시공 시 유의사항강도 차이가 1.4배 이상일 때 Cold ..
Key word: 인공의 포졸란, 포졸란 보다 성능우수, 강도 및 수밀성 향상, 습윤양생, 유동성 개선, 장기강도 증진, 수화열 저감, 알칼리 골제 반응 억제, fly ash에 AE제 등이 부착되어 공기연행량 감소 I. 정의Fly Ash는 포졸란을 대신하는 인공의 포졸란으로 성능이 우수하다.Fly Ash 시멘트는 강도 및 수밀성을 향상을 위해서는 습윤양생이 중요하며 유동성, 장기강도 개선 및 수화열 저감 등의 효과가 있다.II. 종류 구분Fly ash 함유량A종5 ~ 10 %B종10 ~ 20 %C종20 ~ 30 %III. 특징유동성 개선 : 단위수량을 적게 할 수 있다. → 건조수축 저감 효과장기강도 증진 : 초기강도 확보가 늦어서 겨울철 사용 시 동결융해 방지 조치 필요수화열 저감 : 온도균열 방지알칼..
Key word: 설계기준강도, 28일 및 7일용 공시체, 배합결정, 거푸집 해체시기 결정, Con'c 품질확인, 24~48시간 수중양생, 압축강도시험, 원주형 지름 150mm 및 높이 300mm, 원주형 지름 100mm 및 높이 200mm I. 정의구조체 관리용 공시체는 Con'c 구조물이 설계기준강도에 부합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제작한 공시체이다.28일 강도용 공시체, 7일 강도용 공시체가 있으며, 성형 후 24~ 48시간 20(+,-)3도씨에서 수중양생 관리한다.II. 구조체 관리용 공시체 공시체 만들기 : 3단 나누어 다짐, 각 25회 그리고 수분 증발 방지 덮개 (Capping) 설치수중 양생 : 성형 후 24 ~ 48시간 수중양생압축강도 시험 실시III. 강도시험 목적배합결정거푸집 해체시기 결..
Key word: 가설 울타리, 공사 경계구분 및 출입제한 보안시설, 풍하중에 대한 충분한 강성, 방진벽, 방음벽, 3m 이상, 토사 유출방지를 위한 하단 막음 I. 정의가설울타리는 공사현장 경계 부분 및 무분별한 출입을 제한하며, 미관을 고려하되 풍하중에 대한 충분한 강성을 발휘해야한다.이뿐만 아니라 공사 소음 및 비산먼지 등을 차단하는 방진벽, 방음벽 역할도 한다.II. 설치 기준 공사장 방음시설은 전후 소음차이가 최소 7dB 이상이어야 하고, 높이는 3m 이상이어야 한다.비산먼지 발생 가능이 있는 경우, 공사장 경계에 1.8m 이상 방진벽을 설치해야 한다.공사 부지 경계선 50m 이내 주거, 상가 건물이 있는 경우 3m 이상 방진벽을 설치한다.III. 가설울타리 지주형식을 종류비계식 Type오거식 ..
Key word : 낙하물 위험방지, 산업안전보건기준, 방호선발, 근로자 통행이 많은, 내민 길이 2m이상, 설치각도 20~30도, 지상에서 8m 이내, 강풍에 의한 전도방지, 안전시설물 I. 정의방호선반은 낙하물로 인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주출입구 등 통행이 많은 곳에 설치하는 안전시설물이다.구조체 외측에서 내민 2m 이상, 설치각도 20~30도 등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기준을 준수하여 설치한다.II. 설치기준 내민길이 : 비계 또는 구조체 외측에서 2m이상설치높이 : 지상에서 8m 이내설치각도 : 20~30도→ 리프트카 방호선반 설치시 끝단에 60cm 이상 난간을 설치하여 2차 낙하사고예방 III. 방호선반 설치 위치리프트카 전면 및 경사로주출입구 및 가설통호근로자 통행량이 많고 낙하물 위험이..
Keyword: 가설통로, 30~60도 가설계단, 30도 이하 가설경사로, 15도 이상 미끄럼방지막이 설치, 산업안전보건기준, 안전 난간대, 계단참 I. 정의 경사가 있는 가설통로에는 30도 이하일 때는 가설경사로, 30~60도 인 경우에는 가설계단을 설치한다. '산업안전보건기준'을 준수하여 설치하며, 계단참 및 안전난간대 등을 설치하여 사고를 방지한다. II. 각도에 따른 가설통호 설치방법 75도 이상 : 고정식 사다리 75도 이하 : 이동식 사다리 30 ~60도 : 가설 계단 15~ 30도 : 가설경사로 미끄럼방지막이 설치 15도 이하 : 가설경사로 (미끄럼방지막이 설치 안해도 됨) III. 가설경사로 및 가설계단 설치 기준 구분 가설경사로 가설계단 경사 30도 이내 30~ 60도 난간대 안전난간대 ..
Key word: 토사 유출 방지, 도로오염 방지, 세륜기 및 수조, Roll type, 측면 살수시설, Grating Type, Rod Type, 적정 침전제 사용, 슬러브 토출부는 백호작업이 가능하도록 공간 확보 I. 정의자동식 세륜시설은 롤러에 차바퀴를 닿게 한 후 전력 또는 차량의 동력을 이용하여 차바퀴에 묻은 토사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시설이다.통상 토공사 시 일일 사토량 1,800m^2 당 1대의 자동식 세륜기를 설치한다. II. 자동식 세륜기 설치 세륜기 설치 부위 규격 준수구배 1/50수조 설치로 세륜 효율증가슬러지 토출부는 백호 작업이 가능하도록 공간확보적정 침전제를 사용하여 노즐, 세륜기 고장방지필요 시 측면 살수 시설 설치 고려III. 자동식 세륜기 종류 Roll Type롤러에 의한 ..
Key word: 시스템 비계, 강관 비계와 비교, Jack Base, 수직재 및 수평재, 작업발판 및 안전난간대, 구조적 안전성 확보 용이, 정형화된 구조물 적합, 협소 장소 설치 부적합, 자재 및 설치비 고가, 숙력공 필요, 밑받침 설치 사용 수평 및 수직 확보, 지반 강도 확보 I. 정의시스템 비계는 Jack Base, 수직재, 수평재, 작업발판, 안전난간대 등으로 구성된 시스템화된 비계이다.설치, 해체가 용이하고 안전난간대와 작업 발판을 동시 설치하며 구조적으로 안전성 확보가 유리하여 사고 위험성이 낮다.II. 구성 요소 → 작업 발판, 수직 및 수평재, 안전난간대, Jack Back 사용 시 같은 수직 면상 상하 동시 작업 금지 III. 특징 장점조립 설치 용이구조적 안전성 확보 용이작업발판 및..